이거 어떻게 푸나요? ㅠㅠㅠ
우선 Y의 평균 원자량이 35.5인데, (³⁵Y의 원자량)×(b/100)+(³⁷Y의 원자량)×{(100-b)/100} = 35.5입니다. 계산하면
0.35b+37-0.37b = 37-0.02b = 35.5
에서 b = 1.5/0.02 = 75입니다.
다음으로 XY의 분자량으로서 가능한 조합으로는 m+35, m+37, m+39가 있는데, ㉢>㉡>㉠이라고 했으므로 ㉠ = m+35, ㉡ = m+37, ㉢ = m+39입니다. 여기서 ㉠은 mX와 ³⁵Y만으로 구성되고 ㉢은 (m+2)X와 ³⁷Y만으로 구성되므로, 가령 ㉠의 존재 비율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.
a/100×0.75×100 % = 0.75a % = 37.5 % = ½×75 %
에서 a = 50
ㄱ. b(=75) > a(=50)이므로 맞습니다.
ㄴ. ㉢은 m+39이므로 맞습니다.
ㄷ. 분자량이 2m+2인 X₂는 mX와 (m+2)X인 원자 2개로 구성되며 이 경우는 전체 4가지의 경우( mXmX, mX(m+2)X, (m+2)XmX, (m+2)X(m+2)X )중 2개에 해당하므로 2×0.5×0.5×100 % = 50 5로 맞습니다.
따라서 답은 ⑤입니다.